Swift랑 친해지기/Swift 책보면서 정리해보기

자료형

데브킹덕 2022. 1. 11. 12:15

만약에 컴퓨터가 입력받은 값이 7이라고 가정을 해보겠음

근데 이 7이 '문자'인지 , '숫자' 인지 알 수가 없잖음??

문자로 받아 들이게 되면 컴퓨터는 아스키 코드 로 변환시켜 저장함

숫자로 받아 들이면 그대로 숫자 7로 값을 저장함

때문에 변수나 상수에 할당된 값을 타입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해주지 않으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기준이 모호해짐

더해서 문자인지 숫자인지에 따라 

메모리 크기도 달라짐

이렇기 때문에 문자인지 숫자인지를 알려주면 되지 않겠음??

그래서 자료형으로 명확하게 정의해야 함

 

자료형??

변수나 상수를 정의할 때 반드시 숫자, 문자, 문자열, 논리 등 

타입을 지정하고 그에 맞추어 사용함 

이를 데이터타입(Data Type), 즉, 자료형이라함

 

*변수나 상수는 처음 입력되는 값에 맞는 자료형으로 초기화됨

때문에 이후에 자료형에 호환되는 형식의 값만 저장 가능 

 

TMI

스위프트는 실수와 정수는 일부 호환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정수를 실수로 변환하여 연산 처리를 함

왜냐면 실수에서 정수로 바꾸면 소수점 자리의 값이 손실되지만,

정수에서 실수로 바꾸면 값의 손실이 생기지 않기 때문임

 

 

기본자료형

스위프트에서 타입을 정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이  몇가지 자료형을 미리 정의하여 제공함.

Int, UInt, Double, Float, Bool, String, Character

 

 

자세한 기본자료형에 대해서는 다음장에..

'Swift랑 친해지기 > Swift 책보면서 정리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nt - 기본자료형  (0) 2022.01.12
Int - 기본자료형  (0) 2022.01.11
변수와 상수의 이름 정의하기  (0) 2022.01.10
변수와 상수를 정의하는 방법  (0) 2022.01.07
변수와 상수  (0) 2022.01.07